파리 독서

괜찮아, 마음먹기에 달렸어 - 크리스토프 앙드레 - 다른세상

빠리 슈퍼맘 2025. 3. 3. 11:42

괜찮아, 마음먹기에 달렸어 - 크리스토프 앙드레 - 다른세상

 

쌩뜨안느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샌님의 책이다.

쌩뜨 안느라고 하면 파리지앵들은 바로 정신병원으로 알아 듣는댄다.

 

***

 

긍정적인 마음 상태는 우리의 창의력도 높여준다. 28

 

일기장 노트... 그 노트들은 당신에게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느껴졌다. 그곳은 당신의 꿈이었고, 분명하게 드러난 마음 상태였고, 삶의 반향이었다. 삶을 느끼고 성찰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당신은 가끔 일기장을 펴보는 것을 좋아한다. ... 때로는 자신이 그 사이 얼마나 변화하고 성장했는지를 실감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이든 당신의 얼굴에는 미소가 번진다. 자신의 영혼과 고통, 희망의 순수한 떨림을 다시 한번 느끼기 때문이다. 43

 

미국의 작가 소로우는 자신의 일기장을 마음의 물때 달력이라고 정의했다. 

쥘 르나르는 일기가 자신을 다루는 일터 같은 곳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일기는 콩쿠르 형제의 일기처럼 그저 수다를 떠는 것에 그쳐서는 안된다.

일기는 우리의 성격을 구성하고 끊임없이 다듬고 바로 세우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썼다. 

자, 일기를 다시 써보는 건 어떨까?

45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신에 대한 호의는 대체적으로 심리적 안정감 특히 회복 탄력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언제나 안정적이면서 동시에 기운이 넘치는 상태야말로 행복을 부르는 마법의 주문이다. 74

 

매일 규칙적으로 걷는 양에 비례하여 활력과 긍정적인 기분이 커진다고 한다.

하루에 약 10분 정도 빠른 속도로 걷는 것만으로 행복한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그 기분은 최소 90분 정도 지속된다고 한다. 79

 

 

미소는 타인들의 마음만 밝게 해 주는 것이 아니라

미소 짓는 사람 자신의 마음도 밝게 만들어준다. 87

 

1960년대에 시작된 소비사회는 1990년대 들어서부터 과소비 사회가 되었다. 

... 우리는 끊임없이 우리의 소비 욕구를 증폭시키는 일을 유일한 임무로 삼는 학문과 기관들이 존재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기 중심주의적인 집착을 자극하거나 구매자가 슬픔에 빠져 있을수록 소비가 늘어난다고 한다. 

... 불만에 사로잡히고, 기분전환용 상품들에 포위되어 의존적으로 변한다.

이건 부가 아니라 공해이며,

단지 우리의 소비행동을 지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영혼까지 잠식한다.

플라스틱이나 농약과 하나도 다를 바가 없다.

조용히 우리의 내면에 쌓여간느 것이다. 

 

물질주의는 우리의 정체성과 인간성의 근간을 박탈한다. 92-93

 

 

마음 챙김이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의 경험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 마음 챙김은 우리가 현재를 살도록 해준다. 98-99

 

마음 챙김은 존재를 깊이 음미하도록 해 준다. 우선, 이미 앞에서 살펴봤듯이 과거를 곱씹는 습관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준다. 또한 좋은 순간들을 더욱 잘 만끽하도록 해 준다. 덕분에 우리는 더 깊이 있는 현재를 살 수 있게 된다. 105

 

행복은 삶의 목표가 아니라 수단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혹은 오로지 행복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이따금이라도 행복해질 수 있기 때문에 사는 것이다-폴 클로델 129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한 삶을 살았다는 느낌은 적당히 기분 좋은 마음 상태, 소소한 행복의 순간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는지에 달려있다고 한다. 거창한 감동이나 엄청난 기쁨의 순간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132

 

... 엄마들은 집안일을 하고, 장을 보고, 전화 통화를 하면서 몸은 아기와 함께 있어도 정신은 다른 데 팔려 있었다. ... 엄마가 아기와 함께 있으면서도 다른 일을 할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138

 

행복해지려는 고집 140

 

... 긍정적인 마음 상태를 가꾸는 태도는 전염성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옮겨 갑니다. ... 행복이 마치 전염병처럼 확산 된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죠 (물론 폭력이나 비만을 부르는 습관 등 부정적인 태도 역시 전염성이 있긴 합니다) 160